검색결과 리스트
글
임신 개월수가 늘어날수록 엄마의 몸에는 변화가 일어납니다.
이번 포스팅에는 각 개월별로 신체의 변화 및 그애따른 주의사항
그리고 시기별 검사 항목, 영양관리법 등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습니다.
오늘은 첫번째로 임신 1개월의 신체 변화 및 주의사항에 대해 포스팅 합니다.
임신 첫 달은 뚜렷한 신체 변화가 없기 때문에 임신 사실을 모른채 보내는 경우가 많습니다.
특히 계획임신이 아닐경우 더욱 그렇습니다.
일단 임신이 확인되면 안정을 취하고 피로가 쌓이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임신 첫 달에는 임신 사실을 되도록 빨리 확인하는 것이 급선무 입니다.
그래야 임신 초기에 감기약이나 술을 먹는 등의 실수나 위험을 피할수 있습니다.
월경 예정일이 늦어지면 서둘러서 임신여부를 확인하고 임신이 확인되지
않은 상태에서는 함부로 약을 먹거나 엑스레이 촬영을 하면 안됩니다.
장거리 여행과 같은 무리한 활동은 좋지 않고 과로하지 않도록 주의해야 합니다.
생리 예정일이 일주일 이상 늦어지고 있다면 임신진단 시약으로 테스트를 하거나
임신 사실을 확인 하여야 합니다.
자세한건 임신확인 방법 포스팅을 클릭 참조하세요
임신을 확인 했다면 가장 궁금한 출산 예정일을 계산해 봐야 합니다.
평균적으로 임신 기간은 생리주기가 규칙적인 경우를 기준으로 했을때 최종 월경 시작일로부터
약 280일, 40주 정도 입니다. 마지막 생리 시작일의 달에서 3을 빼거나 뺄수 없을때는
9를 더하고 마지막 생리가 시작된 날짜에 7을 더하여 출산 예정일을 계산합니다.
예) 마지막 생리 시작일이 2월4일인 경우 출산 예정일은 11월(2+9) 11일(4+7)이 출산예정일이 됩니다.
하지만 예정일에 출산하는 경우는 드물며 출산 예정일을 기준으로 앞뒤 3주는 정상 분만으로 봅니다.
생리주기가 규칙적이지 않은 경우엔 출산 예정일을 임신 초기 초음파 검사에 의해 임신주수를
계산하거나 기초체온 곡선을 통해 산출해 낼수 있습니다.
초음파 검사는 머리끝에서 엉덩이 까지의 길이를 측정해 수정된 날짜를 예측하는 것이며
다른 방법에 비해 비교적 정확하게 예정일을 계산할수 있습니다.
기초체온을 통한 산출법은 평소 기초체온 곡선을 체크해 두었을 경우 산출이 가능합니다.
임신을 하면 기초체온이 오르는데 임신이 되면 배란기 뿐만이 아니라 배란 후에도 고온기가
계속 됩니다. 기초체온이 저온을 나타내는 기간 중 마지막 날을 배란일로 생각하고 38주를
더해서 출산 예정일을 계산합니다.
기초체온 곡선에 대해서는 다음에 포스팅을 하도록 할께요
이상 오늘의 포스팅 임신 1개월 신체변화 및 주의사항에 대해 마치도록 하겠습니다.
자료가 유익하셨으면 밑에 공감버튼 꼬옥 눌러주세요~!
'임신'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임신 개월별 변화 및 특징 4 - 임신 4개월 신체변화 및 주의사항 (0)
2015.03.28
임신 개월별 변화 및 특징 2 - 임신 2개월 신체변화 및 주의사항 (0)
2015.03.26
임신 개월별 변화 및 특징 1 - 임신 1개월 신체변화 및 주의사항 (4)
2015.03.23
임신 출산 육아관련 정부지원정책 3 - 육아 관련 지원 (10)
2015.03.22
임신 출산 육아관련 정부지원정책 2 - 출산 관련 지원 (14)
2015.03.19
임신 출산 육아관련 정부지원정책 1 - 임신 관련 지원 (2)
2015.03.18
임신 1개월 신체변화 및 주의사항 잘 알아두어야겠어요!!
오늘도 유익한 정보 알아갑니다. 행복이 가득한 하루 되세요^^
항상 글에관심가져주시고 댓글남겨서 응원해주셔서 힘이난답니다♡
특히 첫 임신이라면 잘 모르는거 같아요.
첫달엔 피곤한 기억만 나네요.
임신 계획을 한게 아니라서 조심하지 않은게 후회돼요ㅠ
좋은 정보입니다 ^^
저도 아이가진지모르고 음주를 했었네요^^;;미리계획하고 아이를갖게되면 아이에게더 좋앗겠지 싶어요ㅋㅋㅋㅋ